
욕설, 비방, 도배, 장난 등 게시판 문란행위 관련글을 금지하며, 댓글 작성에도 유의바랍니다.
이를 위반할 시에는 해당 글 및 댓글은 사전통보없이 삭제됩니다.
까만색 나오면 잉크가 아까워서리...
보통 포토샵이나 일러스트레이터를 쓰시는데,
전 간편한 iPhotoplus 툴을 씁니다.
실은 스캐너 구입할 때 딸려온 프로그램이라는...
암튼 그 프로그램 기능을 사용해서
검은색 부분을 다 지워버리고 프린트한 거에요.
전개도로 접는 방법은, 쉬운 것부터 어려운 걸로 단계별로 접어보시라는 말밖엔 할 수 없네요.
(저도 전개도를 공부한 지 이제 3주 정도 되었습니다)
자신이 접은 걸 다시 펴서 어떤 모양이 되는지 직접 그려보면 어떤 법칙같은 걸 알 수 있게 됩니다.
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게 학 접기를 펼친 전개도랑 물고기접기의 전개도, 그리고 변형꽃접기의 전개도이죠.
(변형꽃접기 -> 펼쳤을 때 사각형 안에 4개의 학접기 모양이 생기는 접기방법)
그리고 전개도로 접을 때에는 먼저 선 부분은 다 찾아서 접었다 편 선을 만들고,
이거다 싶은 부분(위의 학접기, 물고기접기, 변형학접기)부터 접어나가기 시작합니다.
접기선은 산접기 골짜기접기 둘 중 하나이니까 어떤 쪽이든 선택해서 진행해 보고
아니다 싶으면 반대쪽으로 접어보는 거죠.
이런 과정에서 원본 모델의 사진이 꼭 필요합니다.
결정적인 힌트는 원본 모델에서 나오거든요.
그리고 전개도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'겹쳐진 부분'을 찾아내는 것입니다.
서로 대칭되는 접기선이 나올 때는 그것이 겹쳐진 다음 접힌 게 아닌지 생각해 봐야 합니다.
이 부분을 찾지 못하면 종이의 면적이 2배로 늘어나기 때문에
겹쳐져서 안보여야 할 부분을 어떻게 처리할 지 고민하게 되거든요.
간단한 팁이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.
Tweet
보통 포토샵이나 일러스트레이터를 쓰시는데,
전 간편한 iPhotoplus 툴을 씁니다.
실은 스캐너 구입할 때 딸려온 프로그램이라는...
암튼 그 프로그램 기능을 사용해서
검은색 부분을 다 지워버리고 프린트한 거에요.
전개도로 접는 방법은, 쉬운 것부터 어려운 걸로 단계별로 접어보시라는 말밖엔 할 수 없네요.
(저도 전개도를 공부한 지 이제 3주 정도 되었습니다)
자신이 접은 걸 다시 펴서 어떤 모양이 되는지 직접 그려보면 어떤 법칙같은 걸 알 수 있게 됩니다.
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게 학 접기를 펼친 전개도랑 물고기접기의 전개도, 그리고 변형꽃접기의 전개도이죠.
(변형꽃접기 -> 펼쳤을 때 사각형 안에 4개의 학접기 모양이 생기는 접기방법)
그리고 전개도로 접을 때에는 먼저 선 부분은 다 찾아서 접었다 편 선을 만들고,
이거다 싶은 부분(위의 학접기, 물고기접기, 변형학접기)부터 접어나가기 시작합니다.
접기선은 산접기 골짜기접기 둘 중 하나이니까 어떤 쪽이든 선택해서 진행해 보고
아니다 싶으면 반대쪽으로 접어보는 거죠.
이런 과정에서 원본 모델의 사진이 꼭 필요합니다.
결정적인 힌트는 원본 모델에서 나오거든요.
그리고 전개도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'겹쳐진 부분'을 찾아내는 것입니다.
서로 대칭되는 접기선이 나올 때는 그것이 겹쳐진 다음 접힌 게 아닌지 생각해 봐야 합니다.
이 부분을 찾지 못하면 종이의 면적이 2배로 늘어나기 때문에
겹쳐져서 안보여야 할 부분을 어떻게 처리할 지 고민하게 되거든요.
간단한 팁이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.